권고사직 실업급여 조건·신청 총정리
회사가 등을 떠밀어 나가라고 한다면? 😡
그런데도 실업급여 못 받으면 억울하죠. 사실, 권고사직은 내가 잘못한 게 아니고 회사 사정 때문에 나가는 거라서 조건만 맞으면 당당하게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.
문제는…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
👉 “조건이 뭐지?”
👉 “회사에서 서류 안 주면 어떡하지?”
👉 “얼마나 받을 수 있나?”
같은 고민이 한가득 터져 나온다는 겁니다. 🤯
그래서 오늘은 👇
- 권고사직 실업급여 조건
- 신청 방법 & 절차
- 실제 수령 금액 계산
- 회사가 협조 안 할 때 대처법
- 실업급여 꿀팁 & Q&A
까지 싹~ 정리해드리겠습니다. 이 글 끝까지 보시면, 권고사직 당했어도 최소한 실업급여만큼은 놓치지 않고 챙길 수 있게 되실 거예요.
1️⃣ 권고사직 실업급여 조건
실업급여는 단순히 회사를 그만뒀다고 다 주는 게 아닙니다. 법적으로 인정되는 조건이 있습니다.
- 비자발적 퇴사: 권고사직은 회사 사정으로 퇴사했으므로 자격 충족 ✅
- 근무기간 요건: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최소 180일 이상
- 구직의사: 일을 할 의사가 있고, 실제로 구직활동을 해야 함
- 근로 의사 확인: 워크넷 등록 + 고용센터 방문 필수
2️⃣ 권고사직 실업급여 신청 방법
- 고용보험 홈페이지 / 고용센터 방문
- 필수서류 준비: 이직확인서(회사 제출), 신분증, 통장 사본
- 온라인 교육 수강 (실업인정 교육)
-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 보고
👉 회사가 ‘이직확인서’를 제출해야 지급이 가능합니다.
3️⃣ 실업급여 수령 금액
- 지급액 계산식: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% 수준
- 하한액: 최저임금 기준 일정 금액 이하로 내려가지 않음
- 기간: 최소 120일~최대 270일 (연령·근속연수 따라 달라짐)
예시:
평균임금이 100,000원이라면 → 실업급여는 약 60,000원 × 지급일수
4️⃣ 회사에서 서류 안 줄 때?
고용센터에 직접 신고하세요.
고용보험 시스템에서 이직확인서 미제출 신고 가능.
회사 눈치 보느라 기다릴 필요 없습니다. 법적으로 의무이기 때문에 고용센터가 대신 압박해줍니다.
5️⃣ 신청 시 유의 사항
- 자발적 퇴사로 기록되면 지급 불가 🚫
- 구직활동 증명 미흡하면 끊길 수 있음
- 부정수급 적발 시, 환수 + 추가 제재 있음
6️⃣ 실업급여 꿀팁
✨ 신청 지연하지 말 것: 퇴사 후 12개월 안에 신청해야 함
✨ 워크넷 이력서 미리 작성: 구직활동 인증할 때 편리
✨ 훈련과정 활용: 직업훈련 참여하면 실업인정이 쉽게 됨
7️⃣ Q&A 모음
Q. 권고사직이면 무조건 실업급여 나오나요?
👉 조건 충족(보험가입 180일+구직의사)이 있어야 합니다.
Q. 회사가 ‘자발적 퇴사’로 기재하면요?
👉 고용센터에 이의신청 가능. 증빙자료(사직서, 문자, 메일 등) 제출해야 함.
Q. 실업급여 받으면서 알바 가능한가요?
👉 원칙적으론 불가. 단, 소득 일정 기준 이하+고용센터 사전 신고 시 일부 인정.
Q. 권고사직이 아닌 계약만료도 가능한가요?
👉 네, 계약기간 종료로 인한 퇴사도 실업급여 가능.
✅ 결론
권고사직, 내가 원해서 그만두는 게 아닌데 손해까지 보면 억울하죠. 💢
하지만 법에서 보장한 제도가 있으니, 조건만 잘 확인하고 서류만 제대로 챙기면 실업급여는 반드시 받을 수 있습니다.
👉 당장 오늘, 워크넷에 이력서 등록부터 시작하세요.
👉 회사에서 서류 안 줘도 쫄지 말고 고용센터 신고하세요.
놓치면 한 달 생활비가 사라지고, 챙기면 든든한 버팀목이 됩니다.
이제 권고사직 실업급여, 절대 놓치지 마세요! 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