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2025 ISA 개편 완전정리

쿼카아빠의 노하우 2025. 8. 10. 23:18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2025 ISA 개편 완전정리

    “ISA가 뭐지?” 하던 당신, 최근 ISA 개편 소식에 ‘혜택 늘었대?’ 하며 궁금증 폭발 중이시죠? 이 글에서는

    • ISA가 뭘까?
    • 2025년 개편(예정) 핵심은?
    • 상황에 따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?

    한눈에 정리한 뒤,

    • 연말까지 돈 안 쓸 거라 연금으로 옮기고 싶은 분
    • 주택 마련·목돈 준비 중인 분
    • 금융소득 많아 절세가 절실한 분

    이 세 경우에 맞는 가입·해지 전략을 유머러스하게 팍팍 풀어드릴게요.

     

     

    1. ISA가 뭐야, 그 계좌가?

    ISA, 아니 이 녀석은 “Individual Savings Account”의 줄임말로,

    우리말로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.

    은행 하나, 증권사 하나… 귀찮게 여러 계좌 옮기지 않아도

    한 계좌 안에서 예금·펀드·주식·ETF 등 여러 장르를 다룰 수 있어요.

     

    장점

    •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라는 세금 그물망을 피해갈 수 있고
    • 최소 3년 이상 유지하면 세제혜택 먹을 수 있다는 것!
      이게 다 ISA만의 매력입니다. 

    2. 2025년 ISA 개편 핵심 정리 (아직 국회 통과 전입니다!)

    ① 납입 한도: 훌쩍↑

    • 연간 납입 한도: 기존 2,000만 원 → 4,000만 원
    • 총 납입 한도: 기존 1억 원 → 2억 원

    ② 비과세 한도: 빵 터지게↑

    • 일반형: 연 200만 원 → 500만 원
    • 서민/농어민형: 연 400만 원 → 1,000만 원

    ③ 국내투자형 ISA 신설

    • 국내 상장주·펀드만 투자 가능한 전용 창.
    • 비과세 한도: 일반 ISA보다 더 높게—일반형 1,000만원, 서민형 2,000만원
    •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가입 가능, 이들에게는 14% 분리과세 혜택 적용

    ④ 1인 1계좌 제한 폐지

    • 중개형, 신탁형, 일임형, 국내투자형 등 서로 다른 유형은 각각 1좌씩 보유 가능
      (물론 동일 유형은 중복 불가)

    ⑤ 소급적용(?)

    • 개정안이 통과된다면, “작년 납입 한도 못 채웠다고?” 걱정 마세요.
      이월 납입 한도가 더해지는 방식이 검토 중이라, 예컨대 지난해 1,200만 원만 썼다면
      올해 한도에 전년도 잔여 800만 원까지 더해 총 2,800만 원까지 가능하다는 얘기도…! 

      ☞ 주의: 이 모든 변화는 법안이 아직 국회 문턱을 넘지 않았기 때문에, 실현 여부는 계속 지켜봐야 합니다.

    3. 근데… ‘이미 ISA 가지고 있는 사람’도 혜택 받을 수 있어?

    기존 가입자분들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 다만 중요한 사항은:

     

    • 변경된 한도, 유형, 혜택이 '소급 적용'되는지는 법안 내용과 시행 방식에 달려 있습니다.
    • 일반적으로 개정 후 신규 납입분에만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니, 새로 납입하는 시점부터 해당 혜택이 적용될 가능성이 높습니다.

    즉, “올해까지 ISA 유지하느라 귀찮아서 중도 해지 못 했는데, 어차피 납입액은 많지 않았던... 그럼 이제 해지한 뒤 재가입해볼까?”라는 전략도 한번 생각해볼 만하겠죠. 다만 3년 유지 의무도 있으니 잘 계산해보시고요. 

    4. 케이스별 전략: 어떻게 활용할까?

    Case A: “지금 돈은 안 써도 되니깐, 연금으로 옮겨야겠다”

    전략: ISA에서 연금저축/IRP로 이체 → 10% 세액공제 가능 (최대 300만 원)

     

    Case B: “주택 구매나 목돈 모으려고 지금 혜택 받고 싶다”

    전략: 일반형 또는 서민형 ISA에 연간 납입 한도 최대한 채움 → 비과세 혜택 누리며 목돈 마련

    예: 500만 원 비과세 → 9.9% 분리과세 구간까지도 세금 아낄 수 있음


    Case C: “금융소득 종합과세자라 세금이 너무 아파...”

    전략: 국내투자형 ISA 활용 → 14% 분리과세 적용되고, 비과세 한도도 넉넉

    단, 이 유형으로 옮기려면 기존 ISA 해지 후 신규 가입 필요할 수 있음.
    → 결국 '중도 해지 전략'도 고민해볼 만

    5. ISA 계좌 관련 Q&A

    Q1. ISA는 몇 개까지 만들 수 있나요?
    → 2025년 개편안대로라면, 서로 다른 유형은 각각 1계좌씩 보유 가능 (중개·신탁·일임·국내투자 등)

    Q2. 비과세 한도 넘으면 어떻게 되나요?
    → 초과분에 대해서는 9.9%의 저율 분리과세 적용. 일반 금융소득세(15.4%)보다 훨씬 유리합니다.

    Q3. 해외 ETF 수익도 비과세에 포함돼요?
    → ISA 내 해외 ETF 매매차익은 비과세이지만, 배당소득은 해외 원천징수 이후 환급이 어려워져 세제 혜택 축소 가능성 있

    Q4. ISA 유지 기간은요?
    → 최소 3년 유지 필요. 중도 해지 시 세제 혜택이 사라지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결론: 이 글에서 얻는 핵심 정리

    • ISA란? 다양한 금융상품 한 계좌에서 관리 가능한 절세형 계좌.
    • 2025년 개편 핵심 요약: 납입·비과세 한도 대폭 확대, 국내투자형 ISA 신설, 다계좌 보유 가능.
    • 전략별 활용 팁: 연금 이체, 목돈 마련, 절세형 ISA 선택 등 목적별 기막힌 전략.
    • 기존 가입자도 ‘변경 혜택’ 활용 가능성 있음, 단 법 시행 세부 조건에 달림.
    • Q&A로 복잡함 걷어내, 블로그 가독성과 소통력도 업!

    어때요? 이제 ISA 전문가된 느낌 아닌가요?ㅎㅎ
    국회에서 확정되면 바로 갈아타는 당신을 떠올리며, 언제나 재밌고 유익한 글로 돌아올게요.

    반응형